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설명
RESTful API 설계를 하는 이유 ->
적절한 관심사를 나누는 이유 -> 객체지향적인 방법으로 하기위해서
NOSQL과 DBMS 에 대해 설명 -> MySQL relation entity에 대한 관계 NoSql Map
상대적 느림 NO(SQL) 관계가 없음에 나오는 유연성 directacess 가능
Setter 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
Restful 장점
restful에 대한 왜? 알고있는 점에 대한
과거에는 http메소드는 put, delete, get, post 사람을
리소스 기반의 주소
200
Restful하게 상
적절한 관심사를 나누는 이유
- 명확한 역할 분담
- 관련된 일을 한다
- 객체지향적인 방법을 하기 위해서
- 어떨때는 분리
=> 재사용성, 테스트 용이성, 유지보수, 역할 분담
= MVC 방법
- 단점 : 계층구조 분리
-> 복잡성이 증가,
-> 성능적 오버헤드(서로 호출, 호출이 많으면 성능이 떨어진다)
-> 관심사분리를 안해서 생기는 일
-> 비용이 증가
-> 디버깅시 찾아가는 어려움
-> 중복된 코드가 있을 수 있다.
Setter
-> 캡슐화 기반
-> 불변성 훼손 ( "불변성 = 매우 중요" 많은 트래픽이 들어오는 경우
-> API하나가 10만명이 접근 가능 여러명이 들어왔을때
어느 시점에)
-> 결합도 증가
-> 유지보수 저하("")
-> 예를 드는 것도 좋음
=> 값을 바꿀
=> 멀티스레드ㅇㅔ서는 값을 바꾸면 안된다.
객체지향 프로그래밍 -> 활용 : 모듈화된 코드, 재사용성,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, 대규모 시스템, 인터페이스와 다형성을 통해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0531 TIL : ResponseEntity (0) | 2024.06.03 |
---|---|
240530 TIL (0) | 2024.05.31 |
240528 TIL (0) | 2024.05.29 |
240527 TIL (0) | 2024.05.28 |
240524 TIL (0) | 2024.05.27 |